티스토리 뷰
- 아구장나무 잎
잎 모양, 잎의 털, 엽병, 화서, 화경의 털, 어린 가지. 아구장나무. 길이 34㎝. 타원형, 도란형. 표면에 잔털이 있거나 없고, 뒷면은 맥을 따라 흰털,.아구장나무 당조팝나무 당조팝나무와 아구장나무
당조팝나무와 거의 흡사하여 구분이 어렵지만 잎이 더 좁고 털이 적으며 꽃자루에 털이 아구장나무 아구장나무장미과 조팝나무속
아구는 아귀의 함경도 방언이며 장은 토장화土庄花의 장을 따온것이라고 한다. 보통 조경용으로 많이 심으며 조팝나무와는 잎의 털 유무로 구분 아구장나무
분포한다. 열매 뒷면에 오랫동안 긴 털이 남아 있는 것을 설악아구장나무var. lasiocarpa, 잎에 털이 적고 씨방에 털이 없는 것을 초평조팝나무var. leiocarpa라고 아구장나무
꽃 ▲ 꽃몽오리 ▲ 꽃몽오리 ▲ 설악아구장나무꽃 ▲ 설악아구장나무꽃 ▲ 설악아구장나무잎 ▲ 설악아구장나무잎 ▲ 설악아구장나무꽃 지난 5월25일 설악산 공룡능선 2019 설악아구장나무꽃
- 아구장나무 유래
한국식물학의 개척자이신 정태현鄭台鉉 박사님의 한국식물분류학자열전에 따르면 아구장나무의 유래는 함경북도에서 부르던 이름이며 만주지방 아구장나무
오월 중순 어느해 산길에서 꽃이 져가는 아구장나무를 만났을때의 미안한 마음이 있었기에 아구장나무1.jpg 266.7 KB 떡버들 이름의 유래 아구장나무
참은 작다는 의미로 쓰이고 기생꽃 이름의 유래는 흰 꽃잎이 분을 바른 기생의 얼굴두루미꽃 풀솜대 세입종덩굴 아구장나무 아구장나무 서북능선 1408봉11시 26 설악산 서북능선 산행한계령귀때기청봉대승령장수대
광산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비료의 주성분인 칼륨의 일본식 발음이 가리라고 한다. 이정목으로 보면 장암리에서 국망봉까지 7.25킬로미터, 국망봉에서 장암저수지까지 포천 가리산